본문 바로가기
암호 화폐 및 주식 이야기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Bitget)로 송금하는법

by GoldKoo 2024. 3. 24.
반응형

비트겟,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 송금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골드쿠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해외선물 거래 포스팅에이어서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 코인 전송하는 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어느 거래소를 이용하던지 방법은 다 똑같고, 차근차근 따라오시기만 한다면 어느 거래소든 안전하게 송금 가능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1. 암호화폐 국내거래소에서 코인 구매

우선먼저 해외거래소로 송금하기 위해서는 국내거래소에서 코인을 구매해야 됩니다. 

Cf) 국내거래소 트레블 룰때문에 원화 입금 시,  24시간 동안 해외거래소로 송금이 불가능,  해당 거래소 원화 거래만 가능합니다.

 

전송 시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코인으로는 트론(TRX), 리플(XRP), 테더(USDT) 정도가 있습니다.

 

3개 중에 트론이 가장 저렴하고 저 같은 경우 항상 트론을 이용합니다.

 

저는 빗썸을 가장 애용하고 있어서 빗썸기준으로 해외거래소로 송금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먼저 트론을 해외 거래소로 보낼 금액만큼 매수를 합니다. 그리고 입출금 하단의 입출금 탭을 클릭합니다.

 

참고로 업비트나, 코인원 등 다 방법은 똑같습니다.

 

 

 

 

 

 

 

2. 해외거래소에서 받을 지갑주소 복사

1단계 순서까지 마무리했다면, 반절한 거나 다름이 없습니다.

 

2단계는 보내려는 해외거래소에서 받고자 하는 트론의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왼쪽부터 차례대로 나열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에서 Assets 클릭한 후 Deposit을 클릭합니다.

 

두 번째 사진에서 받고자 하는 코인이 트론(Trx) 이기 때문에 트론을 검색!

 

마지막으로 트론을 클릭하여 Deposit Adderess가 있는데  QR로 하지 마시고 아래 영어로 쓰여있는 주소를 복사합니다.

 

 

3.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 출금하기 

 

 

해외거래소에서 트론의 주소를 복사했으면, 다시 국내거래소로 돌아와서 트론을 검색합니다.

 

그다음 출금하기 버튼을 누른 후 보낼 주소에 다가 해외거래소에서 복사했던 주소를 그대로 붙여 넣고, 보낼 수량을 입력한 후 다음을 누르면 됩니다. 출금 신청한 후 바로 해외거래소로 입금되지 않고 조금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늦어도 5분?.. 정도 기다리시면 됩니다.

 

또 국내거래소 같은 경우 출금이 되었다고 알람도 따로 옵니다.

 

 

 

국내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로 전송이 완료됐다면, 옆의 사진과 같이 해외 거래소로 트론이 입금되신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받은 코인을 USDT(테더)화를 시켜야 되는데 해당코인을 USDT 마켓에서 트론을 검색하셔서 전량 매도하면 USDT화가 완료되고, 그 USDT를 가지고 원하셨던 코인을 매수하시던지 선물거래를 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겟 홍보 대사 G.O.A.T 메시

 

위 사진을 클릭하셔서 신규 가입 및 KYC(본인인증) 완료하시고, Bitget(비트겟) 거래소에서 거래 시 영구적으로 거래 수수료 50% 할인(파트너 매니저이기 때문에 50 %) 및 입금 금액에 따라서  최대 2000$를 보상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제가 파트너 매니저로 현재 활동 중이어서 사진 링크를 통해서 가입하신분한해서 매일 저녁 10시 30분마다 거래에 대한 수수료 페이백 받으실수 있습니다. 

(비트겟 공식 홈페이지 담당자에게 제안 받음)
*유효한 유저란?
KYC 인증 완료 후, 임의의 금액 입금 및 거래를 완료한 신규 유저

2023.01.19 - [암호 화폐 및 주식 이야기] - Bitget(비트겟) 가입 방법 및 KYC(본인 인증) 하는법

2023.01.21 - [암호 화폐 및 주식 이야기] - Bitget(비트겟) 보안설정 하는 방법(2)

 

반응형

댓글